미국의 경제제재로 결국 일본은 미국과 전면전에 나서기로 하고 미국의 태평양함대가 주둔하고 있던 진주만으로 진격합니다
진주만 공습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미국의 경제제재로 인해 전쟁 물자나 무역 등 모든 물꼬가 막힌 일본은 심사숙고한 끝에 미국과의 전면전을 하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그렇게 일본은 진주만을 기습해서 그곳에 주둔하고있던 태평양 함대를 전멸시키거나 아니면 최소한 괴멸 직전 상태로 몰아간 뒤 미국이 복구에 힘을 쏟는 동안 동남아시아를 점령하고 그곳에서 미국에게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던 석유와 여러 전쟁 물자들을 얻으려는 심산이었죠
그리고 더 나아가 동남아시아의 섬들을 요새화한 뒤 미국이 쳐들어 왔을때 미국의 전력을 소모시켜 공세 의지를 꺾고 훗날 더 이상의 결전없이 어떻게든 일본이 유리하도록 평화협상을 성사 시키려는 속내가 들어있었습니다
생각이 거기까지 미치자 일본은 미국과의 전쟁을 치밀하고 철저하게 준비하기 시작했죠
그렇게 진주만 공습 준비를 마친 일본은 태평양 함대, 그리고 비행장과 항공기를 파괴 시키는것을 목표로 두고 항공모함 6척을 앞세워 진주만을 향해 떠났습니다
이때 미국과의 전쟁을 이끈 일본의 지휘관은 제 40대 총리 도조 히데키와 연합함대 사령관 야마모토 이소로쿠 였죠
도조 히데키는 "지금 일본이 미국의 요구대로 중국에서 철수한다면 약 4년여간 싸워가며 이룬 만주사변의 성과를 다 날리는 것이며 이는 만주국의 안보에도 위협이 되고 조선을 국방의 최전선으로 삼는것도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이제는 미국과 싸우는 수밖에 없다" 라며 국민과 군인들을 설득했습니다
또한 야마모토 사령관은 "태평양 함대가 있는 미국의 급소는 진주만이다 이곳을 빠르게 선제타격해 미군의 항공모함을 모조리 침몰시켜야 미국과의 전쟁의 승기를 잡을수 있다" 라는 주장을 하는 등 이 두사람을 필두로 일본은 진주만 공습을 개시하게 되었죠
그렇게 일본을 떠난 일본군은 미국이 눈치채지 못하게 가는 동안 외부와의 통신도 전혀 하지않았고 바다에 쓰레기도 버리지 않았을 정도로 은밀히 움직였습니다

그런데 미국은 사실 일본의 움직임을 어느정도 파악하고 있었는데요
미국은 일본의 타깃이 아마도 미국의 식민지였던 필리핀 일 것이라 생각했고 머나먼 진주만까지 올것이라고는 상상도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일본이 다른곳을 공격하면 바로 지원을 갈수 있도록 당시 태평양 함대를 지휘하고 있던 허즈번드 킴멜 제독은 전함대에 연료를 가득채우고 항공기도 언제든지 출격이 가능하도록 비행장 가운데에 모아놓으라 명령했죠
그런데 허즈번드 제독의 이러한 명령이 미국의 피해를 훨씬 더 크게 만들것이라고는 당시엔 그 누구도 생각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1941년 12월 7일 일요일 오전 6시 10분 일본군은 제대로 된 선전포고도 하지 않고 마침내 1차 진주만 기습 공격이 시작되었습니다
가장 많은 함정이 항구에 모이는 날이 일요일이었기 때문에 많은수의 함정을 파괴시키기위해서는 일요일에 공격하는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던것이죠
또한 공습을 할 항공기들의 조종사들도 무수히 많은 실전 경험을 갖춘 베테랑 조종사들로 엄선되었습니다
일본은 1차 공격에서 진주만에 주둔해있던 태평양 함대와 항공기지를 집중공격 했으며 태평양 함대에 폭탄을 쏟아붓는 동시에 오하우섬 중앙의 미군 항공기지인 휠러 비행장도 무지막지한 폭격을 가해 미국의 제공권이 가동되지 못하도록 했습니다
그리고 일본군의 어뢰공격에 미군 전함 USS 애리조나의 탄약고가 폭발해 일순간에 1,177명의 미 해병이 목숨을 잃기도 했죠
그리고 7시 15분, 2차로 이어진 일본의 공격에서는 170여대의 폭격기가 하늘을 가득 메우고 있었습니다
2차로 공격에 들어간 폭격기들은 이미 좌초되거나 침몰하고 있는 배들까지도 끝까지 공격해 확인 사살까지 마치고나서 일본군의 모든 항공기들은 대략 2시간 동안의 공격을 마치고 진주만을 빠져나갔죠

2차 공격이 끝난후 일본의 한 장교는 3차공격을 가해 미군의 오일탱크와 병참기지 등 다시 태평양 함대를 재건시킬수도 있는곳들을 폭격해야 한다며 항공모함의 지휘관 나구모에게 건의 했는데요
하지만 나구모는 더 공격에 나섰다가는 정신을 차린 미군의 반격에 손해를 볼수 있다고 생각해 더이상의 모험은 하지 않은채 3차 공격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3차 공격이 중단되었고 이는 훗날 일본에게 치명적이고 뼈아픈 실수가 되죠
아무튼 2차례에 걸친 일본군의 무지막지한 공격은 살아남은 사람들마저 평생 트라우마와 후유증에 시달리게 했던 만큼 끔찍했습니다
불과 몇시간 전까지만 해도 평화로웠던 진주만이 비명소리가 가득한 아비규환의 장소가 되어버렸죠
이때 미군 태평양 함대의 피해규모는 어마어마했는데요
전함 3척이 침몰했고 18여척의 군함이 파괴되었죠
그리고 188여대의 항공기도 작살이 났으며 미군과 하와이 주민들을 포함해 3600여명의 인명피해까지 났습니다
반면에 일본군의 손실은 항공기 약 29대와 군함 6대, 그리고 60여명의 사상자에 불과했죠
진주만에서의 이 전투는 미국의 완벽한 패배였습니다
아까 말한 3차 공격을 하지 않은 우를 범한 일본은 또다른 치명적 실수를 하고 마는데요
원래 처음 목표가 연합함대 사령관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주장과 같이 태평양 함대의 주력이라 할수 있는 항공모함들을 침몰 시키는것이었는데 당시 일본은 단 한척의 항공모함도 침몰시키는데 실패한것이죠
그 이유는 진주만 공습이 있기 며칠전에 미국의 항공모함들은 다른 작전 수행을 위해 진주만을 떠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사실을 일본도 뒤늦게 알게 되었지만 이미 본토에서 수천킬로미터나 떨어진 진주만까지 온이상 기습공격을 포기할수 없었던 것이죠
이때 침몰시키지 못한 미국의 항공모함과 3차 공격 중지는 결국 훗날 일본을 무너트리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한 당시 미국은 1차 세계대전을 겪었기 때문에 전쟁보다는 평화를 원하고 있었는데요
하지만 일본이 진주만을 공습해 수많은 미국인들이 죽고 다친 결과 오히려 미국에서 여론이 일본에 복수를 하기위해 전쟁을 불사해야 한다고 뒤바껴버리는 역효과를 불러버렸죠
그렇게 미국의 대통령 루즈벨트는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지 않겠다는 과거의 약속을 깨고 1941년 12월 8일, 진주만이 초토화 된 날을 치욕의 날로 선언한 후 일본과의 전면전을 선포했습니다

이날 루즈벨트의 연설에 전쟁을 기피하던 미국내의 분위기도 180도 뒤집혀 사람들은 기다렸다는듯이 환호했죠
그리고 일본과의 전면전 소식에 미국인들은 입대를 자원할 만큼 애국심이 뿜뿜하고 있었으며 착실히 일본과의 전쟁을 준비해 나갔습니다
반면 일본은 강대국 미국과의 전쟁에서 이겼다보니 나라 전체가 떠들썩한 축제 분위기였죠
심지어 진주만을 공격하다 사망한 9명의 군인을 '진주만의 아홉 군신'이라 칭하며 신격화 하기도 할 만큼 승리에 도취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더이상 미국의 눈치를 보지 않고 태평양과 동남아시아 지역의 다른 섬들을 차례차례 점령해 나가기 시작했죠
게다가 불과 6개월만에 거의 대부분의 동남아시아 지역을 모조리 점령하기에 이르렀죠
이로써 일본은 인도양에서 태평양을 아우르는 굉장히 넓은 지역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어마무시한 일본의 팽창을 본 미국은 이를 갈며 복수전을 계획하고 있었는데요
일본과의 전쟁을 치르기위해 치밀하게 전략과 전술을 세우고 군사훈련을 하는 등 만반의 준비에 나서게 되었죠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은 전쟁의 책임을 물어 허즈번드 킴멜 제독을 해임 시켰고 새로운 태평양 함대의 사령관으로 체스터 니미츠를 임명했습니다
니미츠 사령관은 당시 굉장히 유명했던 인물인데요
심지어 그의 이름을 딴 USS 니미츠 항공모함이 있을정도이죠
게다가 육군하면 맥아더, 해군하면 니미츠 라는말이 있기도 했습니다
아무튼 니미츠는 태평양 함대의 전력을 재건하기 위해 먼저 파괴된 함선을 수리하는데 온힘을 집중했죠
그 결과 단 3척을 제외하고 나머지 함선들이 불과 3개월만에 모두 복구 되었습니다
그리고 파견나가있던 항공모함들을 다시 불러 모은 뒤 공습이 있고나서 5개월이 지났을 무렵 일본에 대한 복수전을 실행하기에 이르렀죠
복수전의 목표는 바로 일본의 심장부인 도쿄였고 1942년 4월 18일, 비로소 도쿄 공습 작전이 실시 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일본이 1281년 몽골에 의해 본토를 침략 당한 이후 약 660년만에 당한 본토 공격이었죠
하지만 여전히 전세는 미국에게 불리하게 돌아갔는데요
하지만 얼마후 미드웨이에서 있었던 해전으로 전세가 완전히 뒤집히게 되면서 일본은 더이상 아무힘도 못쓰다가 결국 패망하게 됩니다
'세계역사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잭처칠. 전쟁터에서 일단 백파이프로 노래 한곡 땡기고 돌격한 상남자 (0) | 2022.10.09 |
---|---|
아유바 슐레이만. 금수저에서 노예로 전락했지만 타고난 인싸 기질 덕분에 풀려난 인물 (0) | 2022.10.08 |
나노리. 전쟁통 속에서도 자기소개를 반드시 했었던 일본의 특이한 전통문화 (0) | 2022.10.04 |
미드웨이 해전. 진주만 공습으로 잠자는 사자의 콧수염을 건드린 일본에 대한 미국의 강력한 반격 (1) | 2022.10.01 |
죄수가 만든 나라. 호주가 영국의 죄수들에 의해 만들어진 이유 (1) | 2022.09.20 |
오이란. 최상류 고객들만 모시던 유곽의 최고급 유녀 (1) | 2022.09.19 |
에펠탑. 과거에는 흉물취급 받았지만 지금은 전세계 최고의 랜드마크 (0) | 2022.09.05 |
셰르파. 이들이 없었다면 에베레스트 등반은 꿈도 꾸지 못했을 히말라야 원정대의 숨은 조력자 (0) | 2022.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