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역사 탐구

판문점 공동 경비 구역에서 일어난 북한군의 도끼 만행 사건

by 사탐과탐 2021. 6. 10.
반응형
1976년 8월 18일. 판문점 인근 공동경비구역 내에서 북한군 군인 30여 명이 도끼를 휘둘러 주한 미군 장교 2명을 살해하고 주한 미군 및 대한민국 국군 병력 절대다수에게 피해를 입힌 사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건탐구 과거탐구> 유튜브에서 더욱 재미있는 영상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1976년 8월. 유엔군 측 주한 미군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안의 제5관측소에서 제3초소와 비무장지대를 관측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북한군의 초소 3개에 둘러싸인 제3초소 부근에 미루나무 가지가 무성하게 자라 있어 이를 제대로 관측할 수가 없었죠.

 

출처. 선을 넘는 녀석들


미루나무는 당시 공동경비구역에서 25년 된 15m 높이의 나무였으며 한국과 북한 양측이 상대방을 감시하기 위한 시야 확보에 지장을 주고 있었습니다.

이에 1976년 8월 18일 오전 10시경 주한 미군 경비중대장 아서 조지 보니파스 대위(Arthur George Bonifas, 1943년 4월 22일생)를 필두로 경비소대장 마크 토머스 배럿 중위(Mark Thomas Barrett, 1951년 6월 9일생) 등 2명과 부사관과 병사 4명, 그리고 대한민국 국군 장교 1명과 부사관과 병사 4명 등 총 11명은 유엔군 측 제3초소 부근에서 시야를 가린 미루나무를 베는 작업을 하는 남한 노무자 5명의 경비 및 감독을 하고 있었습니다.

 

아서 조지 보니파스 대위      마크 토머스 배럿 중위

 

미루나무 제거하는 장면


그런데 북한군 박철 중위와 다른 장교 1명, 그리고 15명의 부사관과 병사가 나타나 작업 중지를 요구하였습니다.

 

북한군 박철 중위


하지만 미루나무의 위치가 유엔군 측의 관할에 있었기 때문에 보수작업을 하는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보니파스 대위는 경비중대장 직권으로 작업을 계속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그러자 박철 중위는 인근 초소의 북한군 부사관과 병사 20여 명을 더 불렀고 박철 중위의 작업 중지 재요구를 보니파스 대위가 거부하자 갑자기 공격명령을 내립니다.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이에 따라 인민군 부사관과 병사들은 트럭에 실어 가지고 온 곡괭이, 몽둥이와 노동자들이 작업에 쓰려고 가져왔던 도끼 등을 빼앗아 휘두르며 기습하였습니다.

이들은 유엔군 측 지휘관과 장병들에게 집중 공격을 가해서 경비중대장 보니파스 대위와 배럿 중위가 이마에 중상을 입고 병원 이송 중 사망하게 됩니다.

그리고 주한 미군 부사관과 병사 4명, 국군 장교와 부사관과 병사 4명 등이 중경상을 입었고 유엔군 트럭 3대가 파손되었다.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이 북한의 만행을 보고 받은 미국 백악관은 격분했고 워싱턴 특별 대책반이 소집되었으며, 미국 국무부와 함께

"이 사건의 결과로 빚어지는 어떠한 사태에 대해서도 그 책임은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에 있다"

라는 공동성명을 당일에 발표하였습니다. 한마디로 전쟁도 불사하겠다는 말이었죠.

또한 제럴드 포드 미국 대통령의 명령에 따라 스틸웰 주한미군 사령관은 문제의 미루나무를 베어버리고 공동경비구역 내에 북한군이 설치한 불법 바리케이드를 제거하기 위한 '폴 버니언 작전'을 실행하기로 합니다. 

(Operation Paul Bunyan: 미국 전설에 등장하는 거구의 나무꾼 폴 버니언에서 따온 작전명)

 

미국 본토에서는 핵무기 탑재가 가능한 F-111 전투기 20대가 한반도로 긴급 파견되었고, 괌에서는 B-52 폭격기 3대, 오키나와 카데나 미공군기지에서는 불멸의 도깨비라 불리는 F-4 팬텀 전투기 24대가 한반도 상공을 선회하며 대규모 무력시위 계획을 준비하게 됩니다.

 

또한 함재기 65대를 탑재한 미 해군 제7함대 소속 항공모함 미드웨이호가 순양함 등의 중무장한 호위함 5척을 거느리고 동해를 북상하여 한국 해역 인근에 배치되었습니다.

폴 버니언 작전

 

폴 버니언 작전을 수행할 때 북한이 무력대응 시 불바다로 만들어 버리겠다는 것이었죠.  

 

한국은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특전사 제1 공수특전여단 김종헌 소령을 지휘관으로 하고 64인의 특전사 대원들로 구성된 결사대가 편성되어 보복작전을 실시하게 됩니다.  

 

64인의 결사대 파견

 

M16 소총, 수류탄, 크레모아 등을 트럭에 숨기고 카투사로 위장한 64명의 특전사 요원들은 공동경비구역 내에서의 폴 버니언 작전에 투입되어 북한군 초소 4개를 파괴하였습니다.

북한군이 이에 무력 대응할 경우엔 과감히 사살하여 보복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이었지만 북한군은 이에 대응하지 않고 뒤도 안 돌아보고 도망쳐 더 이상의 무력사태로까지는 확대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북한 주석 직에 있던 김일성은 소련과 중국에 도와달라고 했지만 이때 미국과 친밀한 관계를 가지려던 움직임이 있던 각국은 알아서 하라는 식으로 이야기했고 김일성은 이례적으로 유감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공동 경비구역에서 일어난 사건은 유감이다. 그런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처음에 미국은 북한의 유감 성명이 잘못을 인정한 것이 아니라며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다가 24시간 만에 태도를 바꿔 이를 수락하였습니다.

이후로 오랫동안 남한과 북한 서로가 강력하게 비판하는 등 준전시상태에 준하는 상황은 계속되었고 판문점 내의 공동경비구역에서도 콘크리트 단으로 경계를 표시하게 됩니다.

  
그전에는 판문점 내에서와 돌아오지 않는 다리에서는 비교적 자유롭게 왕래를 할 수 있었지만 북한의 도끼만행 사건 이후에는 경계가 생기고 자유로운 왕래는 완전히 사라지게 됩니다.  

 

판문점


매우 호전적인 성격의 북한군 중위 박철의 잘못된 행동으로 또다시 한반도가 동족상잔의 비극, 전쟁의 불바다가 될 뻔한 사건이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