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역사 탐구

환향녀. 청나라에 끌려갔다가 힘겹게 고향에 돌아왔더니 몸을 함부로 굴린다는 화냥년이 되버린 여인들

by 사탐과탐 2021. 10. 8.
반응형
병자호란으로 인해 조선의 수 많은 백성들이 청나라로 끌려갔었죠.
힘겹게 고향으로 돌아온 여인들은 순수한 의미로는 '환향녀'로 불렸지만 유교국가였던 조선에서는 정절을 강조하며 그녀들을 받아주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몸을 함부로 굴리는 여성이라는 화냥년으로 취급해버리는데요..

 

 

화냥년이라는 말은 서방질을 하는 여자로 풀이되는 '화냥'과 여자를 낮잡아 쓰는 말인 '년'을 합친 말인데요.

예전부터 우리는 '몸을 함부로 하는 여성'을 가리켜 '화냥년'이라 부르며 비하하곤 했습니다.

 

화냥년이라는 말이 생겨난 여러 설 중에 하나는 청나라에 잡혀갔다가 고향에 돌아온 여인이라는 뜻의 환향녀에서 유래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죠.

그러나 조금 더 깊이 알아보면 환향녀라는 말에는 가슴 아픈 이야기가 숨겨져 있습니다.

 

때는 1637년 인조 15년, 병자호란을 일으킨 청나라는 한양을 향해 파죽지세로 빠르게 남하했죠.

청군을 막을 수 없었던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여 항전했지만 성내 물자가 떨어져 버티지 못하고 끝내 항복하고 말았죠.

 

전쟁에서 패한 인조는 청의 황제에게 3번 무릎 꿇고 9번 머리를 조아리는 삼전도의 굴욕을 역사에 기록하게 되는데요.

조선의 임금이 오랑캐에게 치욕적인 모욕을 당하지만 슬프게도 전쟁의 비극은 인조의 굴욕으로 끝나지 않았습니다.

 

(글의 내용을 돕기 위한 이미지)

 

청군에 의해 남자든 여자든 노인이든 어린애든 수많은 조선 백성이 머나먼 청나라 땅으로 끌려가게 된 것이죠.

그런데 그 숫자가 포로가 된 백성을 제외하고도 노예로만 60만 명 이상이 잡혀갔을 것으로 추정되어 진다고 합니다.

당시 청군은 조선 여성들을 사로잡는 것에 몰두했는데요.

 

특히 젊은 여성을 잡게 되면, 겁탈도 했고, 첩으로 삼기도 했으며 또한 노예시장에서 좋은 값을 받고 판매를 해, 많은 돈을 벌 수도 있었기 때문이었죠.

잡혀온 여성들은 온갖 치욕적인 능욕을 당해야만 했습니다.

 

청나라 남자들에 의해 몸을 유린 당하고 재미를 다 본 청나라인들은 조선여자들을 노예로 팔았으며 또한 청군 장수들의 첩이 되기도 했는데 자신의 남편이 첩을 데려온 것을 질투했던 청군 장수의 본처들 중에는 끓는 물을 퍼부었던 자도 있었다고 하죠.

 

조선의 여인들은 그리운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었지만 돈을 바쳐야 풀려날 수 있었는데요.

돈이 있는 자는 가족에게 돌아갈 수 있었으나 가난한 백성은 그럴 수 없었죠.

돈을 치르고 백성을 구해 오는 것을 속환이라고 하였는데 조선은 국고를 풀어 백성들을 데리고 왔다고 합니다.

 

하지만 청나라 사람들의 만행으로 인해 속환도 쉽지 않았는데요.

속환 금액을 합의 보고 훗날 만났을 때 청나라 사람이 약속과는 다르게 더 많은 돈을 요구하자 잡혀있던 여자는 돌아갈 수 없다는걸 직감하고 그 자리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어버린 것이죠.

 

(글의 내용을 돕기 위한 이미지)

 

그러자 청나라 사람들은 그 여인의 시신을 다시 돈을 받고 팔았고 그렇게 시신만 사가지고 돌아온 경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속환되어 돌아온 후로도 그녀들의 비극은 끝나지 않았는데요.

고향에 돌아온 기쁨도 잠시 그녀들에게는 '환향녀' 라는 꼬리표가 붙게 된 것입니다.

 

환향녀를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고향으로 돌아온 여인'이 되지만 조선사회가 바라보는 시각은 달랐죠.

특히 사대부의 유부녀들은 정절을 잃었으므로 본래의 남편과 재결합을 금하는 분위기에 고통을 겪어야 했는데요.

일반 백성들의 상황도 비슷했는데 그러다보니 평생 살던 마을을 떠나 다른 곳에서 숨어사는 여자들도 많았죠.

 

그렇게 고향으로 돌아온 여자들은 남편에게 버림받고 가문에서도 쫓겨나게 됩니다.

그 일화로 인조 16년인 1638년 부원군 장유와 승지 한이겸이 조정에 올린 호소문을 보게 되면 서로 다른 입장에서 다른 호소를 하는데요.

 

장유는 "며느리가 속환 되어 왔으나 조상의 제사를 차마 받들 수 없으니 외아들이 이혼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시옵소서." 라는 호소문을 올렸고 그와 상반된 호소를 한 한이겸은 "딸이 속환 되어 왔는데 사위가 딸을 버리고 새 장가를 들려고 하니 그것을 막아 주시길 간청 하옵니다." 라는 호소문을 올렸죠.

 

(글의 내용을 돕기 위한 이미지)

 

이 둘의 상반된 호소 앞에 조정의 논의는 두 갈래로 갈라지게 됩니다.

일부에서는 이혼을 허락하면 고향으로 속환을 원하는 사람이 없어지고 수많은 여성들이 원귀가 될 것이라 반대했으며 다른 신료들은 잡혀간 것이 본심은 아니나 이미 정절을 잃어 대의가 끊겼으니 억지로 결합하게 할 수 없다며 이혼을 허용하라고 촉구하게 됩니다.

 

고민에 빠진 인조는 처음에는 이혼을 허락할 수 없다고 강조하면서 환향녀이 돌아와서 홍제원의 물에 목욕을 하면 정절을 잃었던 몸이 다시 깨끗해진 것으로 간주하겠다며 청나라에 끌려갔다 왔다는 이유만으로 이혼하거나 내쫓는 것을 금지했었죠.

 

그러나 환향녀라는 이유 대신에 품행이 좋지 못하다는 등의 다른 핑계를 대며 쫓아내기도 했습니다.

거기다가 날이 갈수록 이혼을 허락하라는 공세가 거세 지게 되면서 이에 결국 1638년 6월 조정은 재결합을 원하는 사람과 이혼을 원하는 사람 모두 소원대로 해주자는 결론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사대부 집안에서 환향녀 출신 며느리를 내치는걸 인정해 주자는 조처였고 결국 수많은 환향녀가 버림을 받는 비극이 속출하게 되죠.

일부 사대부들은 자신의 아내 혹은 딸과 며느리에게 자결을 독촉했고 환향녀라는 꼬리표를 붙여 하대 했는데 꿈에 그리던 고향에 돌아온 환향녀들은 조선에서 설 곳이 없게 됩니다.

 

(글의 내용을 돕기 위한 이미지)

 

심지어 화냥년이 낳은 자식은 오랑캐의 자식이다라 하여 호로자식이라 칭하며 아이까지 멸시하게 되죠.

조선의 여인들은 가슴으로 눈물을 삼키며 자신들의 죄가 아니면서도 어쩔 수 없이 죽음으로 정절을 지켜 보이고자 했습니다.

강과 바다에 몸을 던져 죽은 여인들이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없을 정도였고 스스로 목을 매거나 칼로 찔러 죽는 여인들이 넘쳐 났다고 하죠.

 

명분으로 인해 벌어진 전란에서 수많은 여인들이 또다시 명분으로 죽어 나가게 되는 비극이 벌어졌던 것입니다.

병자호란으로 여성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은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결코 끝나지 않고 이어지게 된 것이죠.

 

나라가 약해 포로로 끌려가 온갖 능욕을 당하고 사랑하는 가족이 있는 고향으로 겨우 돌아왔지만 시대는 정절을 강요하며 환향녀라는 단어의 참뜻이 퇴색되게 됩니다.

이 말은 전해지고 전해지면서 남편이 아닌 남자와 성관계 하는 여자를 낮잡아 부르는 말로 변질되고 중국의 기녀를 뜻하는 화낭과 발음이 유사하기도 해서 환향녀는 화냥녀로 바뀌어 불리게 되었다고 하죠.

 

화냥녀의 어원 설 중에 하나이기에 병자호란의 폐해에서 유래된 건지는 알 수는 없지만 우리 조선의 여인들이 겪었던 아픔은 역사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높은 사람들이 일으킨 전쟁으로 인해 수많은 백성들이 죽임을 당하고 그중에서도 가장 큰 피해자는 아이들과 여성들 그리고 노인들이라고 하죠.

 

청나라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건 역시 여성들이 아니었나 싶기도 하네요.

청나라에 억지로 끌려갔다가 돌아왔지만 조선인 모두에게 외면받은 환향녀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반응형